[APA 2018] 진단의 타당성, 신뢰성 및 임상적 유용성 향상을 위한 DSM-5 개정

Clinicians and researchers are invited to submit proposals for revisions to the fifth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online to enable timely, incremental changes as warranted by advances in the science of mental disorders. In this way, DSM-5 will evolve and remain an authoritative and up-to-date resource for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mental disorders. The anticipated types of revisions, process for submitting proposed changes and criteria by which they will be reviewed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in a lively and well-attended workshop entitled “Future of the DSM: An Update from the DSM Steering Committee” at APA 2018.

정신질환 과학의 진보로 인한 변화를 시기적절하게 반영하기 위하여,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제 5 개정판 (DSM-5)에 대한 제안을 온라인으로 제출하도록 임상의와 연구자에게 요청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DSM-5는 정신질환의 진단과 분류에 있어서 꾸준히 발전하는 권위 있는 최신의 자료가 될 것입니다. “DSM의 미래: DSM 운영위원회에 의한 DSM-5 개정”의 이름으로 개최된 APA 2018 워크샵에서 예상되는 개정 유형, 제안된 변경사항의 제출과정 및 검토기준이 발표되고 논의되었습니다.

The DSM is used by clinicians and researchers to diagnose and classify mental disorders. It was first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in 1952 and has been updated four times since the original edition. The most recent edition, DSM-5, was published in 2013 following a 14-year revision process by members of the DSM-5 Task Force and its 13 Work Groups.
임상의와 연구자들은 정신질환의 진단 및 분류를 위해 DSM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DSM은 1952년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hychiatric Association, APA)에서 최초로 공표된 이후 4차례 개정되었습니다. 최신 개정판인 DSM-5는 13개의 팀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중심으로 14년의 개정과정을 걸쳐 2013년에 완성되었습니다.

The new process enables ongoing revision to DSM-5 to reflect new knowledge
DSM-5를 지속적으로 개정하여 새로운 지식을 반영할 것입니다

Revising the manual in its entirety at variable intervals has the advantage of promoting stability and consistency i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said Paul Appelbaum, Professor of Psychiatry, Columbia University, NY, past president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nd chair of the DSM-5 Steering Committee.
미국 정신의학회의 장을 역임하였고, DSM-5 운영위원회의 의장이자 뉴욕 콜럼비아 대학교의 정신의학 교수인 Paul Appelbaum은 매뉴얼 전반을 유동적인 주기로 개정하는 것은 임상실무와 연구에 있어서 안정성과 일관성을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However, such revisions are unable to respond to advances 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which occur at a different pace for different disorders. A process has therefore been put in place to enable experts in the field to propose changes so they can be incorporated incrementally in a timely fashion.
그러나 이러한 개정도 질환별 진보의 속도가 상이하므로 실제 임상 상황과 정확한 일치를 이루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의료전문가들이 임상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제안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절차를 마련하여, 적절한 시기에 점진적으로 개정판에 반영되도록 조치하였습니다.

Five types of proposed change are anticipated
제안된
변경사항은 다섯 가지 유형으로 예상됩니다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visions proposed will aim to change an existing diagnostic criteria set, add a new diagnostic category or specifier, delete an existing diagnostic category or specifier, or correct and clarify the current content.
제안된 개정안은 기존의 진단 기준을 바꾸고, 새로운 진단적 분류 또는 세부 분류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고, 혹은 현재의 내용을 수정하고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he revisions proposed will aim to change an existing diagnostic criteria set, add a new diagnostic category or specifier, delete an existing diagnostic category or specifier, or correct and clarify the current content
기존의 진단적 기준 일부를 변경 및 삭제하고, 새로운 진단적 분류를 추가하는 등 질병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도록 개정해 나갈 것입니다.

Professor Appelbaum explained that the five types of expected revision are classified as follows:
Appelbaum 교수는 다섯 가지 유형의 개정안이 다음과 같이 분류될 것이라고 제시했습니다.  

  • Type 1: Changes to an existing diagnostic criteria set
    유형 1: 기존의 진단적 기준의 변경.
  • Type 1a to address the validity of an existing diagnostic criteria set
    유형 1a: 기존의 진단적 기준의 타당성을 다룸.
  • Type 1b to address the reliability of a diagnostic criteria set, without reducing the validity
    유형 1b: 타당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진단적 기준의 신뢰성을 다룸.
  • Type 1c to address the clinical utility of a diagnostic criteria set, without reducing the validity or reliability
    유형 1c: 타당성과 신뢰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진단적 기준의 임상적 유용성을 다룸.
  • Type 1d to address deleterious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a diagnostic criteria set, without reducing validity
    유형 1d: 타당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진단적 기준과 관련된 유해한 결과들을 다룸.
  • Type 2: Addition of a new diagnostic category or specifier/subtype
    유형 2: 새로운 진단적 분류 또는 세부 분류/하위 항목 추가.
  • Type 3: Deletion of an existing diagnostic category or specifier/subtype
    유형 3: 기존의 진단적 분류 또는 세부 분류/하위 항목 삭제.
  • Type 4: Corrections and clarifications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n ambiguous diagnostic criterion, specifier, or text
    유형 4: 모호한 진단적 기준, 세부 분류 또는 본문의 적용과 이해를 개선시키기 위한 수정 및 설명.
  • Type 5: Changes to the text to improve clarity
    유형 5: 명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내용 변경.

Evidence to support proposed changes
제안된
변경사항을 뒷받침하는 근거

Vice chairs of the DSM-5 Steering Committee, Kenneth Kendler, Professor of Psychiatry, Stanford, CA, and Ellen Leibenluft, Senior Investigator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Intramural Research Program, explained that the evidence required to support proposed changes depends on the type of change.
DSM-5 운영위원회의 부의장, 스탠포드 정신의학 교수인 Kenneth Kendler, 그리고 국립 정신보건 대학원 교내 연구 프로그램의 수석 연구원인 Ellen Leibenluft는 변경 유형에 따라 필요한 근거자료가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Substantial evidence is required for Type 1, 2 and 3 revisions. Evidence supporting Types 4 and 5 revisions can be less substantial than for Types 1 to 3.
Type 1,2,3 개정을 위해서는 상당한 근거자료가 필요합니다. Type 4와 5 개정을 위해 필요한 근거자료는 Type 1~3 개정을 위한 근거자료보다 분량이 더 적을 것입니다.

Substantial evidence is required for Type 1 changes to prove that the revision would markedly:
Type 1 변경사항의 다음과 같은 개정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근거자료가 필요할 것입니다.

  • improve the validity of an existing diagnostic criteria set, the reliability of a diagnostic criteria set without reducing validity, or the clinical utility of a diagnostic criteria set without reducing validity or reliability
    기존 진단적 기준의 타당성을 개선하거나, 타당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진단적 기준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타당성과 신뢰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진단적 기준의 임상적 유용성을 증진시키는 것.
  • reduce deleterious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a diagnostic criteria set, without reducing validity
    타당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진단적 기준과 관련된 유해한 결과들을 감소시키는 것.

Substantial evidence is also required for:
이어지는 Type 2 및 Type 3 변경사항을 입증하기 위해서도 많은 근거자료가 요구됩니다.

  • Type 2 changes to ensure the new diagnostic category or specifier meets the criteria for a mental disorder, is valid and reliable, is clinically valuable, does not overlap with existing diagnoses and specifiers/subtypes
    새로운 진단적 분류와 세부 분류들이 정신질환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실히 하기 위한 Type 2 변경사항이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가치가 있되 기존의 진단 및 세부 분류/하위 항목들과 중복되지 않을 것.
  • Type 3 changes to delete an existing diagnostic category or specifier/subtype to prove it has weak validity and is of minimal clinical utility
    Type 3 변경사항은 기존의 진단적 분류 또는 세부 사항/하위 항목이 타당성이 부족하고 임상적 유용성이 적은 기존의 진단적 분류 또는 세부 사항/하위 항목을 삭제하기 위한 Type 3 변경사항.

Evidence supporting Types 4 and 5 revisions can be less substantial than for Types 1 to 3, said Dr Leibenluft. She highlighted that these revisions need clear common sense evidence explain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oposed change.
Leibenluft 교수는 Type 4와 5 개정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은 Type 1~3 개정을 위한 근거자료보다 분량이 더 적을 것이라고 말하며, 제안된 변경사항의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하고 보편적 근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How to submit proposed changes
변경을
원하는 사항을 어떻게 제출할 것인가

Anyone can initiate the process for a proposed change to DSM-5 via https://www.psychiatry.org/psychiatrists/practice/dsm/submit-proposals.
아래의 주소로 접속하면 누구나 DSM-5 개정을 위한 제안을 할 수 있습니다.
http://www.psychiatry.org/psychiatrists/practice/dsm/submit-proposals

The ten broad classes of validator may be further classified as antecedent, concurrent or predictive.
당성 검증의 10 가지 큰 분류기준은 다시 선행, 동시 또는 예측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Professor Kendler explained that the evidence for Type 1a and 1b revisions is best submitted in a highly detailed, tabulated format providing an overview of the evidence including patients investigated, methods used, key results, year of study and an assessment graded from 1 to 5 on the quality the validators.
Kendler 교수는 Type 1a 및 1b의 개정 근거를 연구 환자, 연구 방법, 주요 결과, 연구 기간 및 타당성 검증 수준을 1에서 5 등급의 평가를 포함하는 근거자료의 개요를, 매우 상세히 도표로 정리하여 제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습니다.

He described the following ten broad classes of validating data:
그는 타당성 검증의 10 가지 분류를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Antecedent validators: familial, socio-cultural-demographic, environmental, previous psychiatric history
    선행 타당성 자료: 가족성, 사회-문화-인구학적, 환경적 및 이전의 정신의학적 병력
  • Concurrent validators: cognitive, biological markers, comorbidity, functional impact
    동시 타당성 자료: 인지, 생물학적 표지자, 동반질환 및 기능적 영향
  • Predictive validators: diagnostic stability, course of illness, response to treatment
    예측 타당성 자료: 진단적 안정성, 질병의 과정 및 치료 반응성

Review process for proposed changes
제안된 변경사항의 검토과정

The Steering Committee will review all completed proposals to decide whether the proposal is substantially likely to meet the criteria for approval. If so it is referred to the relevant Review Committee.
제안사항이 승인을 위한 기준에 충분히 부합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운영위원회는 모든 제안서들을 검토할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제안서는 관련 검토위원회에 회부됩니다.

Each of the five Review Committees has expertise in one broad area of psychopathology – neurodevelopmental, serious mental illness (e.g., psychosis, neurodegenerative disease), internalizing mental illness (e.g., depression), externalizing mental illness, and body system disorders.
다섯 개의 검토위원회는 각각 고유의 광범위한 정신병리학 분야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신경발달학, 중증 정신질환 (정신병, 신경퇴행성 질환 등), 내면 정신질환 (우울증 등), 외면 정신질환 및 생체 질환을 포함합니다.

The proposal is then reviewed again by the Steering Committee before being referred to the APA board for approval.
이 제안서는 승인을 위한 APA 회의에 상정되기 이전에 운영위원회에 의해 재검토됩니다.

Future of DSM-5
DSM-5
미래

DSM-5 is a work in progress and is likely to look very different in 20 years’ time
DSM-5는 계속 진행중인 작업이며, 20 년 후에는 매우 다른 모습일 것입니다

During the discussion at the workshop, the Steering Committee was praised for making the revision process more transparent and open.
워크샵에서, 운영위원회는 개정 과정을 보다 투명하고 개방적으로 만든 것에 대해 호평 받았습니다.

One audience member wondered whether the review process should be opened-up to all interested parties.
한 청중은 검토과정을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게 공개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해 했습니다.

Professor Appelbaum replied that for now the Steering Committee believe the review process should be restricted in the first instance to Review Committees as currently outlined to avoid excessive noise and to maintain clarity and accuracy.
Appelbaum 교수는 운영위원회의 입장에서, 현재로서는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고 명확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먼저 검토위원회에서 검토되어야 한다고 답변했습니다.

However, he emphasized that DSM-5 is a work in progress and that the revision process is likely to look very different in 20 years’ time.
그러나, Appelbaum교수는 현재 DSM-5는 발전해가고 있으며, 20년 후에는 이 개정과정이 매우 다른 모습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본 자료는 Global Lundbeck 의학부에서 선별한 학술대회 콘텐츠이며, 한국룬드벡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