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둔마 및 외상과 연관된 우울증에 대한 유망한 데이터

Treatment for depression should be tailored to individuals’ history and presentation. Patients with reduced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those abused early in life – important and vulnerable groups in whom response to antidepressants had previously been little studied – were the focus of a satellite symposium at EPA 2021 Virtual.

우울증 치료는 환자별 병력 및 양상에 따라 맞춤화 되어야 합니다. 이전에 항우울제에 대한 반응이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정서적으로 반응성이 저하되거나 어린시절 학대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들이, 화상으로 진행된 이번 2021년 유럽정신의학협회(EPA) 학회의 위성 심포지엄의 주제로 대두되었습니다.

While anhedonia is the reduced ability to experience and anticipate pleasure, emotional blunting can be described as reduced emotional responsiveness – either positive and negative.1,2 Both impose burdens o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nd both are common.

무쾌감증(anhedonia)은 즐거움을 경험 및 기대하는 능력의 저하를 의미하는 한편, 정서적 둔마(emotional blunting)는 감정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정서적 반응 자체가 저하된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1,2 두 증상 모두 주요우울장애 환자가 겪는 질병 부담의 유형으로서 흔히 발생합니다.

  • Franken et al found around 75% of patients with MDD reported anhedonia1
  • Guy Goodwin and colleagues in Oxford found emotional blunting in 46% of treated MDD patients2
  • In a survey of patients in New  Zealand, around 60% of those taking a range of different antidepressants – both SSRIs and an SNRI -- reported feeling emotionally numb3
  • The effect of emotional blunting on decision making  can reduce adherence and so compromise efficacy.4 In a recent study, 35% of patients discontinued treatment because of it.5
  • 프랑켄 외(Franken et al)의 연구에 따르면, 주요우울장애 환자 중 약 75%가 무쾌감증을 겪습니다.1
  • 옥스퍼드 대학교의 가이 굿윈(Guy Goodwin)과 연구진에 따르면, 치료된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46%에서 정서 둔마 증상이 확인되었습니다.2
  • 뉴질랜드의 한 환자 연구에서는 SSRI, SNRI 등 다양한 항우울제를 복용한 환자 중 약 60%가 정서적 둔화를 경험한다고 보고했습니다.3
  • 정서 둔마가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치료 순응도와 효과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4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정서 둔마를 이유로 치료를 중단하는 환자가 35%에 달했습니다.5

Central dopaminergic, mesolimbic and mesocortical reward pathways are implicated in anhedonia,2 and emotional numbing may relate to reduced dopamine or glutamatergic activity6

중추 도파민성, 중변연계 및 중피질 보상 경로는 무쾌감증과 관련이 있으며2 도파민 또는 글루타민 활성 감소는 정서 둔마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6

In the COMPLETE study, use of a multimodal antidepressant was associated with reduced emotional blunting and improved functioning

COMPLETE 연구에 따르면 다중 기전의 항우울제 사용이 정서 둔마 완화 및 기능 개선에 기여하였습니다

 

Promising new data in emotional blunting

정서 둔마에 관한 새로운 유망한 데이터

So there is great interest in the results of the recent COMPLETE study involving an antidepressant that combines modulation of activity at a range of serotonin receptor subtypes with inhibition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and a positive effect on downstream dopamine.7,8

세로토닌 수송체(트랜스포터)를 억제하는 다양한 세로토닌 수용체 아형의 활성 조절과 하위신호전달체계의 도파민에의 긍적적 영향을 모두 보인 특정 항우울제에 관한 최신의 COMPLETE 연구 결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7,8

The study involved patients with only a partial response to an SSRI or SNRI who experienced emotional blunting on treatment and who wanted to switch agent.

이 연구는 SSRI 또는 SNRI에 부분적 반응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해당 환자들은 정서 둔마를 경험하여 약제 변경을 원했습니다.

Presenting the data at EPA 2021 Virtual, Andrea Fagiolini (University of Siena, Italy) reported that the multimodal antidepressant significantly improved emotional blunting as measured by the Oxford Depression Questionnaire.9 After eight weeks of treatment, 50% of patients reported no blunting.

안드레아 파졸리니(Andrea Fagiolini, 이탈리아 시에나 대학교) 교수는 2021년 유럽정신의학협회 가상 학회에서 이 연구 데이터를 발표하며 다중 기전의 항우울제를 사용할 경우, 옥스퍼드 우울증 질문지(ODQ)로 측정한 정서 둔마 증상이 확연히 개선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9 8주 간의 치료 후, 환자 중 50%는 정서 둔마 증상이 사라졌습니다.

Improvement in emotional blunting was accompanied by improvement in overall functioning (and in work, family and social domains) and greater motivation and energy (mental, social and physical).9 Ongoing studies are assessing the role of this agent in patients with anhedonia.

정서 둔마가 완화되자 직장, 가정, 사회 등 전반적인 측면에서 기능이 개선되었고 동기 부여와 더불어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인 활력 또한 증가했습니다.9 현재 이 항우울제가 무쾌감증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Prospects also enhanced in trauma-related MDD

정서적 외상과 관련된 주요우울장애에서도 나타난 긍정적 전망

The multimodal agent improved symptoms and functioning in MDD patients reporting childhood or recent trauma16

이 다중 기전의 항우울제는 어린 시절 또는 최근 외상을 경험한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증상 및 기능 개선에도 효과를 보였습니다16

Childhood trauma can increase the risk of early-onset major depression, and is associated with a relapsing and chronic course.10

어린 시절 발생한 외상은 주요우울장애의 조기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재발 및 만성화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10

The many adults who have a history of childhood trauma a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han others to benefit from commonly used treatments.11

유년기 외상 내력이 있는 많은 성인들은 다른 환자에 비해 일반 치료법으로 효과를 경험할 가능성이 훨씬 낮습니다.11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udy to Predict Optimized Treatment for Depression (iSPOT-D), patients with MDD who had been abused when aged 4-7 years were 1.6 times less likely than non-abused people to achieve response or remission when taking an SSRI or SNRI.11

우울증 최적화 치료 반응 예측 국제 연구(iSPOT-D)에 따르면, 4~7세에 학대를 경험한 주요우울장애 환자는 학대 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SSRI 또는 SNRI에 반응 또는 관해에 이를 가능성이 1.6배 낮습니다.11

Lower risk of relapse over 24 weeks

24주 내 재발 위험 감소

Professor Fagiolini described a series of studies in patients with MDD who had reported either childhood or recent trauma using an antidepressant with multimodal effects on neural pathways including enhanced glutamate signaling.12-15

파졸리니 교수는 유년기 또는 최근에 외상을 경험한 주요우울장애 환자들에게 글루타메이트 신호전달을 포함한 신경경로에의 다중 기전 효과를 보이는 항우울제를 사용한 일련의 연구를 소개했습니다.12-15

Meta-analysis of the short-term studies showed the multimodal agent significantly improved short and long-term symptoms, including anxiety and well as depression, both in patients with childhood trauma and in those with recent trauma.16

단기 연구의 메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이 다중 기전의 약제가 유년기 및 최근의 외상 경험 환자 모두에서 우울, 불안 등의 단/장기 증상을 눈에 띄게 개선시켰습니다.16

In a long-term study, use of the multimodal agent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symptoms and better overall function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hen baseline values were compared with those at week 48, and with a significantly lower risk of depression relapse within 24 weeks.16

장기 연구에서, 다중 기전의 약제 투여는 치료 시작점과 비교하였을 때 48주차에서 증상 및 전반적 기능의 개선과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보여주었으며 24주 내 우울증 재발 위험 또한 현저히 낮췄습니다.16

 

Educational financial support for the symposium was provided by H. Lundbeck A/S, who also funded the studies reported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ssociated with emotional blunting and childhood trauma.

이 심포지엄은 H. Lundbeck A/S의 교육 재정 지원으로 진행되었습니다. H. Lundbeck A/S는 정서 둔마 및 유년기 외상 내력 우울증 환자 연구에도 재정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Our correspondent’s highlights from the symposium are meant as a fair representation of the scientific content presented.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on this p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Lundbeck.

References

1. Franken IHA et al. J Affect Disord 2007;99:83-9;

2. Goodwin GM et al. J Affect Disord 2017;221:31-5

 

3. Read J et al. Psychiatry Res 2014;216:67-73

 

4. Sirey JA et al. JAMA Psychiatry 2017;74:1129-35

 

6. Sansone RA, Sansone LA. Psychiatry (Edgmont) 2010;7:14-83

 

7. Sanchez C et al. Pharmacol Ther 2015;145:43-57;

8. Areberg J et al. Basic Clin Pharmacol Toxicol 2012;110:401-4

 

9. Fagiolini A et al. J Affect Disord 2021;283:472-9

 

10. Hovens J. Emotional Scars. Impact of Childhood Trauma on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2015; Ch 7: pp115-36

 

11. Williams LM et al. Transl Psychiatry 2016;6:e799

 

12.  Guilloux JP et al. Neuropharmacology 2013;73:147-59

 

13. Pehrson AL et al. Eur Neuropsychopharmacol 2013;23:133-45

 

14. Mørk A et al. Pharmacol Biochem Behav 2013;105:41-50

 

15. Pehrson AL, Sanchez C. CNS Spectr 2014;19:121-33

 

16. Cronquist Christensen M et al. J Affect Disord 2020;263:25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