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NP 2022] 주요 우울 장애(MDD) 치료 목표로서의 완전한 기능 회복
In the 35th Congress of the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opened on Oct 15th in Vienna, bringing together over 5,000 global psychiatrists, neuroscientists, neurologists and psychologists to discuss latest developments in the science and treatment of brain disorders. Here are Day 1 highlights with topics spanning the spectrum of human mood and behavior from basic science to clinical careIn the 35th Congress of the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opened on Oct 15th in Vienna, bringing together over 5,000 global psychiatrists, neuroscientists, neurologists and psychologists to discuss latest developments in the science and treatment of brain disorders. Here are Day 1 highlights with topics spanning the spectrum of human mood and behavior from basic science to clinical care.
비엔나에서 열린 제35차 유럽 신경정신 약리학회 (Congress of the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에 약 5,000명 이상의 전 세계 정신과 의사, 신경 과학자, 신경과학자 및 심리학자가 모여 뇌 장애의 과학 및 치료에 대한 최신 발전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10월 15일(1일차) 하이라이트 주제로, 기초 과학에서 임상 치료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기분과 행동의 스펙트럼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습니다.
Unite to act on depression
연합하여 우울증에 대처하다
“It’s not surprising that the latest Lancet commission is devoted to a united action – a Call to Arms – to better treat and prevent disability relating to depression.” – Professor Raymond Lam, Vancouver, Canada
“최근 란셋 위원회가 우울증과 관련된 장애를 더 잘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한 연합된 행동, 콜 투 암스(Call to Arms)에 전념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 캐나다 밴쿠버 레이몬드 램(Raymond Lam) 교수
Several industry symposia focused on multiple aspects of care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comorbid anxiety, given that:
의약업계 여러 심포지엄에서는 우울증 및 불안이 동반된 환자 치료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 Depression is a leading cause of avoidable suffering in the world affecting an estimated 322 million people globally1 with huge economic consequences for governments.
-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an increase in anxiety and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of >25% in 2020, prompting the Lancet and World Psychiatric Association to call for ‘United Action on Depression’.2,3
- 우울증은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2,200만 명에게서 발병하는, 피할 수 있는 고통의 주요 원인으로1 정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합니다.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2020년에 불안과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MDD)가 25% 이상 증가하여 란셋(Lancet)과 세계 정신의학회(World Psychiatric Association)는 ‘우울증에 대한 연합 행동(United Action on Depression)’을 촉구했습니다.2,3
Restoration of functioning is a patient-driven goal of MDD treatment
기능 회복은 MDD 치료의 환자 중심 목표이다
“Patients consider functioning as the main goal of treatment of depression, to help them return to a full work, family and social life.” – Professor Andrea Fagiolini, Siena, Italy
“환자는 직장, 가족, 사회 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우울증 치료의 주요 목표로 생각합니다.” – 이탈리아 시에나 안드레아 파졸리니(Andrea Fagiolini) 교수
- The need for effective treatments that lead to full functional recovery was identified in the symposia, reflecting the burden of MDD on both the individual and society.
- Patients want to achieve functional recovery in MDD, with treatments that help to lift their mood and allow them to return to a full work, family and social life.
- 심포지엄을 통해 기능을 완전히 회복하는 효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는 MDD가 개인과 사회 모두에 부담이라는 것을 반영합니다.
- 환자들은 그들의 상태를 개선하고 직장, 가족, 사회 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료를 통해 MDD에서의 기능적 회복을 원합니다.
Act early to optimize treatment response in MDD
MDD 치료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행동해야 합니다.
“We have to be vigilant to detect intolerance, partial insufficient response and illness recurrence in MDD. The earlier we make these detections, the more successful the outcome is going to be.” – Professor George Papakostas, Boston, USA
“우리는 MDD에서 낮은 내약성, 불충분한 반응 및 질환의 재발을 감시할 수 있도록 조금도 방심해선 안 됩니다. 더 빨리 이러한 사실을 감지할수록 성공적인 결과가 앞당겨집니다.” – 미국 보스턴 조지 파파코스타스(George Papakostas) 교수
- Early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of partial response is critical in improving treatment outcomes for patients with MDD.
- Recent research in patients with MDD with a history of suboptimal response to the most commonly used antidepressants was presen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olerability, functioning and other patient outcomes.
- A review of guidelines demonstrated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optimal timing of management strategies for patients with inadequate response, such as increasing the antidepressant dose, switching to a different antidepressant or augmentation.
- 부분 반응을 조기에 평가하고 식별하는 것은 MDD 환자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데 중요합니다.
- 우울 증상, 내약성, 기능 및 기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우울제에 최적 이하 반응을 보인 이력이 있는 MDD 환자에 대한 최근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 가이드라인을 검토한 결과, 부분적인 반응을 보이는 환자에 대해 항우울제 용량 증가, 다른 항우울제로의 전환, 병용약물 추가와 같은 임상적 효과 및 최적의 투여 시기가 입증되었습니다.
Managing comorbid depression and anxiety to achieve full functional outcomes
완전한 기능 회복을 위한 불안을 동반한 우울증 관리하기
- Anxiety disorders, includ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re frequently co-morbid with MDD and amplify the detrimental impact on functioning and increase burden of disease for these patients.
- Recent evidence was presented on the impact of selected antidepressants in patients with MDD and GAD to significantly improve functional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QoL).
-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를 포함한 불안 장애는 MDD와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잦으며, 기능 저하를 유발하고 환자의 질병 부담을 증가시킵니다.
- MDD 및 GAD 환자에서 선택된 항우울제가 기능적 결과와 삶의 질(QoL)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영향에 대한 최근 증거가 발표되었습니다.
“We are starting to see treatments specifically for patients with comorbid depression and anxiety that are effective in terms of improving not only disease symptoms, but also ability to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 Professor Andrea Fagiolini, Siena, Italy
“우리는 질병의 증상뿐만 아니라 기능 및 삶의 질을 개선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특히 우울증 및 불안이 동반된 환자를 위한 치료법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 이탈리아 시에나 안드레아 파졸리니 교수
Beyond symptom control in schizophrenia
정신분열증의 증상 조절 그 이상을 위해
Schizophrenia was the subject of symposia focused on optimizing long-term therapy use and the patient perspective on setting treatment goals
정신분열증은 환자의 관점에서 치료 목표 설정에 초점을 맞춘 심포지엄의 주제였습니다.
- Treatment goals in schizophrenia should go beyond symptom control to promote clinical improvement, functional recovery, better health-related QoL and attainment of patient’s personal life goals.4
-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long-term maintenance treatment plan that minimizes the risk of relapse and addresses residual symptoms was identified.
- Tailoring treatment goals to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individuals was emphasized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such as shared decision-making and motivational interviewing, help to engage patients and can improve treatment acceptance and adherence.
- 정신분열증의 치료 목표는 임상 증상 개선, 기능 회복, 건강한 삶의 질 및 환자의 개인 생활 목표 달성을 위해 단순히 증상 조절하는 것을 넘어서야 합니다.4
- 재발 위험을 최소화하고 잔존 증상을 해결하는 장기 유지 치료 계획 개발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 개인의 필요와 선호에 맞춘 치료 목표의 조정을 강조했으며 의사 결정의 공유 및 동기 부여 인터뷰와 같은 의사소통 기술은 환자의 참여를 돕고 치료 수용 및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Shared decision-making is key essential, and clinician’s approaches may work even better in a scenario in which patients share their expertise, as they really know what the disease is about.” – Professor Stephan Heres, Munich, Germany
“의사 결정의 공유가 필수적이며,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정확히 알고 있고 그들의 지식을 공유할 수 있을 때에는 임상의의 접근 방식이 훨씬 더 나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 독일 뮌헨 스테판 헤레스(Stephan Heres) 교수
Plenary lecture
기조 강연
Professor Bita Moghaddam presented research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neuronal basis of complex behaviors that are critical to mental health. She highlighted advances in the use of animal models to improve treatment of schizophrenia. Her work has contributed to the discovery of compounds targeting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for schizophrenia treatment.
비타 모가담 교수는 정신 건강에 중요한, 복잡한 행동의 신경 기반 이해에 중점을 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모가담 교수는 정신분열증 치료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동물 모델 사용이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모가담 교수의 연구는 정신분열증 치료를 위한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의 발견에 기여했습니다.
Our correspondent’s highlights from the symposium are meant as a fair representation of the scientific content presented.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on this p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Lundb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