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외상경험, 기분 장애, 의학적 동시 이환 간에는 연관 관계가 있습니까?

New data presented at WCP21 suggest that maladaptive family function and immune dysregulation might help explain why the mortality rate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s more than double that of people without mental disorders.

WCP21에서 제시한 새로운 자료에 따르면 정신 질환 환자의 사망률이 정신 질환을 앓지 않는 사람의 사망률의 두 배인 이유를 가족 체계의 비기능 및 면역 조절 장애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Is there a link between childhood adversity, mood disorders, and medical comorbidities?

아동기 외상경험, 기분 장애, 의학적 동시 이환 간에는 연관 관계가 있습니까?

Multiple childhood adversities are a major risk factor for many mental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and premature mortality

여러 아동기 외상경험은 다수의 정신적·신체적 질환 및 조기 사망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The mortality rate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s 2.22 times higher than that for people without mental disorders, resulting in 10 years of potential life lost for an average person with a mental disorder, said Dr José Oliveira, Lisbon, Portugal. Two-thirds of the deaths are due to natural causes such as heart disease and 17.5% due to unnatural causes, including suicide.

포르투갈 리스본의 호세 올리베이라(José Oliveira) 박사에 따르면 정신 질환 환자의 사망률은 정신 질환을 앓지 않는 사람의 사망률보다 2.22배 높으며 평균적으로 수명이 약 10년 짧습니다. 사망자의 3분의 2는 심장 질환 등으로 인한 자연사, 17.5%는 자살 등으로 인한 외인사였습니다.

Known risk factors linking psychiatric illnesses with such life-threatening medical comorbidities include smoking, lack of exercise, and alcohol use, and psychosocial deprivation associated with unhealthy diets and difficulty accessing healthcare, explained Dr Oliveira.

정신 질환과 함께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동시 이환을 야기하는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 운동 부족, 음주 및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과 건강 관리의 어려움과 관련된 사회심리적 박탈감 등이 있다고 올리베이라 박사는 설명합니다.

Multiple childhood adversities —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physical and emotional mistreatment, sexual abuse, neglect and negligent treatment of children, as well as their commercial or other exploitation — are also a major risk factor for many mental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and ultimately premature mortality, added Dr Oliveira.

WHO에서는 아동기 외상경험을 ‘아동에 대한 신체적·감정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 및 태만한 대우, 상업 및 기타를 목적으로 하는 착취’로 정의하며, 이는 다수의 정신적·신체적 질환과 궁극적인 조기 사망률로 이어질 수 있는 주요 요인이라고 합니다.

Are inflammatory conditions potential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dversities and mood and general medical disorders?

아동기 외상경험, 기분 장애 및 일반 의학적 장애 간의 관계에서 염증성 질환은 매개체 역할을 합니까?

Childhood adversities have been associated with diabetes, obesity, and mental disorders, and it has been postulated that inflammatory conditions are possible mediators in this relationship.

아동기 외상경험은 당뇨병, 비만, 정신질환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 관계에서 염증성 질환이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가정되어 왔습니다.

 

Does childhood adversity increase the risk mental and physical comorbidity?

아동기 외상경험은 정신적·신체적 질환의 동시 이환 확률을 증가시킵니까?

To find out whether childhood adversities might increase the risk of comorbid mood and general medical disorders, rather than increasing the risk of either one independently, Dr Oliveira and his colleagues studied 2060 adults in the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 Portugal.

아동기 외상경험이 각 질환의 확률이 아닌, 기분 장애 및 일반 의학적 장애의 동시 이환 확률을 증가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올리베이라 박사와 동료들은 WHO 포르투갈 정신 건강 보고서에서 2,060명의 성인을 연구했습니다.

Childhood adversities can be categorised as either maladaptive family function or other childhood adversities

아동기 외상경험은 가족 체계의 비기능 및 기타 아동기 외상경험으로 분류됩니다.

They found that childhood adversities most often co-occur and the highest correlations were between:

연구진에 따르면 아동기 외상경험은 종종 동시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 요인들에서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Physical abuse and neglect
  • 신체적 학대 및 방임

  • Physical abuse and family violence
  • 신체적 학대 및 가정 폭력

  • Family violence and parental substance use disorder
  • 가정 폭력 및 부모의 약물 남용

Analysis revealed two categories of childhood adversity with different links to general medical disorders, explained Dr Oliveira:

올리베이라 박사의 분석에 따르면 아동기 외상경험의 종류에 따라 일반 의학적 장애와의 연관관계가 달랐습니다:

  • Maladaptive family function involving neglect, abuse, and family malfunction, which preceded the onset of mood disorders, hypertension, arthritis, and seasonal allergies in adults
  • 방임, 학대, 가족의 비기능 등 가족 체계의 비기능의 경우 성인에게서 기분 장애, 고혈압, 관절염 및 계절성 알레르기로 나타났습니다.

  • Other childhood adversities involving parental loss and economic adversity, which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of the disorders studied (mood disorders, heart disease, hypertension, diabetes, arthritis, seasonal allergies, asthma)
  • 부모 상실, 경제적 고난 등 기타 아동기 외상경험의 경우 연구 대상 질환(기분 장애, 심장 질환,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계절성 알레르기, 천식 등)과는 관련이 없었습니다.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maladaptive family function, mood disorders, and arthritis in adults

성인에게서 가족 체계의 비기능, 기분 장애, 관절염 간에는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aladaptive family function was therefore a common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mood disorders, hypertension, arthritis, and seasonal allergies in adults, said Dr Oliveira, and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가족 체계의 비기능은 성인에게서 기분 장애, 고혈압, 관절염, 계절성 알레르기의 진행에 있어 공통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다음 요인들 사이에서는 상당한 연관성이 드러났다고 합니다:

  • Maladaptive family function, mood disorder, and hypertension
  • 가족 체계의 비기능, 기분 장애, 고혈압

  • Maladaptive family function, mood disorder, and arthritis
  • 가족 체계의 비기능, 기분 장애, 관절염

Further investigation to find out whether the associations were more than might be expected revealed that maladaptive family function might be a specific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omorbid mood disorder and arthritis.

연관성이 예상보다 높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진행한 연구에서는 가족 체계의 비기능이 기분 장애 및 관절염의 동시 이환 진행의 특정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Maladaptive family function may trigger a common pathway of vulnerability to both mood disorders and arthritis linked to immune dysregulation

가족 체계의 비기능은 면역 조절 장애와 관련하여 기분 장애와 관절염 모두로 이어질 수 있는 공통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Many of the cases of arthritis were inflammatory arthritis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biomarkers, and childhood adversities have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biomarkers in adults.

관절염 케이스 다수가 관절염 바이오마커와 관련된 염증성 관절염이었으며, 아동기 외상경험은 성인의 염증성 바이오마커와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Dr Oliveira and his colleagues therefore postulate that maladaptive family function may trigger a common pathway of vulnerability to both mood disorders and arthritis linked to immune dysregulation.

이에 따라 올리베이라 박사와 동료들은 가족 체계의 비기능이 면역 조절 장애와 관련하여 기분 장애와 관절염 모두로 이어질 수 있는 공통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Our correspondent’s highlights from the symposium are meant as a fair representation of the scientific content presented.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on this p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Lundbeck.

참고문헌

  1. Walker ER, et al. Mortality in mental disorders and global disease burden implications. JAMA Psychiatry 2015;72:334–34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Noncommunicable diseases. Available at: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noncommunicable-diseases. Accessed 21 Oct 2021.
  3. Butchart A., Harvey A.P., Mian M., Fürniss T., Kahane T.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International Society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WHO Press, World Health; France: 2006. Preventing Child Maltreatment: a Guide to Taking Action and Generating Evidence.http://whqlibdoc.who.int/publications/2006/9241594365_eng.pdf Retrieved from: [Google Scholar] [Ref list]
  4. Hughes K, et al. The effect of multipl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Public Health 2017;2:e356–66.
  5. Coelho R, et al. Childhood maltreatment and inflammatory markers: a systematic review. Acta Psychiatr Scand 2014;129(3):180–192.
  6. Oliveira J, et al. Childhood adversities and the comorbidity between mood and general medical disorders in adults: Results from the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 Portugal. Brain, Behavior, Immunity - Health 2021;17:100329.
  7. Tursich M, et al. Association of trauma exposure with proinflammatory activity: a transdiagnostic meta-analysis. Transl Psychiatry 2014;4:e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