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M] 온전히 개방적인 변증법적 행동치료(Radically Open-Dialectical Behavior Therapy, RO-DBT)

오늘날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는 자살시도나 자해 등 자살 경향성(suicidality)이 있는 사람들을 비롯해 다양한 정신 및 행동 문제의 치료에 활용되고 있습니다.1 초기에 DBT는 젊은 연령대의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을 중심으로 개발되었고, 이로 인해 DBT 치료자들은 마음 챙김과 더불어 변증법적 세계관 속에서 특히 감정을 조절하고 고통을 감내하는 기술을 많이 적용해 왔습니다.2

하지만 DBT의 치료 격언에도 나와 있듯이, 모두에게 맞는 크기의 옷은 없습니다. DBT는 주로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고 심한 기복을 보이며, 극적이거나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그와 정반대되는, 소위 과잉통제(over-control)형 인간에게는 상대적으로 치료 효과가 부족하다는 문제 제기가 있어 왔습니다. 토머스 R. 린치(Thomas R. Lynch)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온전히 개방적인 변증법적 행동치료(Radically Open-Dialectical Behavior Therapy, RO-DBT)를 개발했습니다.3,4

RO-DBT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DBT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습니다(표 1).3,9,a

RO-DBT와 DBT는 모두 이론적으로는 변증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행동 원리를 활용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알아차리고 해결해 나가도록 도와줍니다. RO-DBT는 DBT 못지않은 방대한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29회의 개인 치료와 30회의 기술 훈련을 이수할 것을 권장합니다. 하지만 RO-DBT는 DBT와 다른 점이 훨씬 더 많습니다. 이는 RO-DBT가 바탕에 두고 있는 뇌과학적 가정과 과잉 통제 내담자의 특성이 DBT와 상당히 다르기 때문입니다.3

과잉 통제형 인간은 억제성 통제(inhibitory control), 높은 위협 민감성(threat sensitivity), 지나치게 디테일 중심적인 처리 과정, 낮은 보상 민감성(reward sensitivity)이라는 특징적인 생기질(biotemperament)을 지니고 있습니다. 과잉 통제 내담자는 높은 위협 민감성으로 인해 사회적 안전 시스템을 갖추기가 더 어렵습니다.3,4 안전감은 만족, 우정, 사회적 참여에 관여하는 뇌 영역인 배쪽 미주신경 복합체(ventral vagal complex)를 활성화하는데, 이 영역은 목소리 톤, 얼굴 표정, 경청, 편안한 눈 마주침 같은 사회적 참여와 관련된 근육을 조절합니다.5 우리는 안전하다고 느낄 때 자연스레 다른 사람과 어울리고 싶어 하며, 안전하다고 느낄 때 더 편안하고 다양한 표정을 짓고 목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을 위협적으로 지각하게 되면 뇌에서 투쟁-도피 반응을 담당하는 교감신경계의 작용이 우세해지면서, 심박수가 빨라지고 얼굴과 머리의 횡문근이 비활성화됩니다. 그 결과 이들의 표정은 경직되거나 긴장돼 보일 수 있고, 사회적 참여에 대한 욕구 및 역량은 감소하게 됩니다.6 인간은 거울뉴런(mirror neuron)과 미세 모방(micromimicry)을 통해 다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하고, 함께 협력하며, 상대방과 어울리는 상호반응을 보입니다.7 이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개인적 얘기들을 편하게 공유하는 사람과는 자연스럽게 인간적 친밀감을 느끼지만, 시종일관 무표정하게 있으면서 개인적인 정보를 전혀 드러내지 않는 사람에게는 불편함을 느낍니다.

그 결과 정신건강 문제로 치료자를 찾아오는 과잉 통제 내담자들은 대개 사회적으로 고립된 채 생활하며 만성적인 외로움과 우울감을 느낍니다. 이들은 사회생활 자체를 피하지는 않아도 사회적으로 만나는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는 맺기 어려워합니다. 또한 보상 민감성이 낮아서 매우 우수한 성취가 아니면 내적 동기부여나 즐거움을 쉽게 느끼지 못하며, 놀이와 즐거움보다는 노력과 성취를 중시하는 성향으로 인해 끊임없는 사회적 비교에 빠져 시기와 억울함을 쉽게 느낍니다. 이들은 생기질적으로 감정의 기복이 크지 않은 채 항상 단조롭고 비슷하게 저조한 기분에 빠져 있기 때문에, 본인이 어떤 감정 상태로 생활하는지 쉽게 인지하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심지어 현대 사회에서는 이들의 꼼꼼하고 성실한 태도와 묵묵한 헌신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고(예: “이렇게 고된 일을 힘든 내색 한 번 안 하고 그렇게 오래 하시다니요, 대단하십니다!”), 그로 인해 이들의 과잉 통제 성향은 알게 모르게 강화됩니다. 이는 경계성 성격장애와 같은 과소 통제(under-controlled)형 인간이 극적인 감정 표현, 매달리기, 조종하는 성향 등에 대한 반감과 비판적 피드백을 받으며 자신의 대처 스타일을 자각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외적으로 표현되는 문제들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RO-DBT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사회적 안전 시스템에 관여하는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여 타고난 생기질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치료자는 이를 위해 장난스러운 도발(playful irreverence)과 자비로운 진지함(compassionate gravity)이 균형을 이루는 태도를 지녀야 합니다. 대다수의 정신 치료 및 인지행동치료의 전통에 따라 대부분의 치료자들은 진지함에 대해서는 누구 못지않게 전문가적이지만, 장난스러운 도발에 대해서는 정말 치료자가 그래도 되는지에 대한 갈등이나 망설임을 느낍니다.

RO-DBT에서는 과잉 통제형 인간의 핵심 문제 중의 하나가 바로 지나친 진지함과 엄격함이라고 보기 때문에, 치료자부터 편한 태도(easy manner)로 장난스러운 도발과 친근감을 모델링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8

RO-DBT의 치료에서는 동맹 파열(alliance rupture)을 치료의 방해 요인이 아니라 오히려 진전의 증거로 간주합니다.3 과잉 통제형 인간은 관계에서 갈등이 생기면 불편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않고 갈등이 발생한 사람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그냥 떠나 버리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사전에 내담자로부터 치료를 중단하고 싶을 때는 혼자서 결정하지 말고 최소한 한 번은 치료자와 대면하여 솔직한 논의를 나누겠다는 약속을 받아야 합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치료가 중단되지만 않는다면 여러 회기를 거치면서 과잉 통제 내담자가 치료자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생각을 겉으로 드러내는 것을 치료관계의 진전과 과잉 통제 증상의 감소로 간주합니다. RO-DBT에서는 그래서 14회기 전까지 여러 차례의 동맹 파열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때까지 한 번도 동맹 파열이 없었다면 치료관계에 상당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봅니다. 왜냐면 이는 실제로 문제가 없었기 때문보다는, 내담자가 평소 하던 대로 불편한 감정과 생각을 드러내지 않고 혼자 참고 있었을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RO-DBT는 DBT와 마찬가지로 팀(team)의 자문을 중요시합니다.

그래서 치료자가 내담자의 동의를 얻어서 회기를 녹화하고 그 내용을 자문 팀에서 함께 보며 치료자가 미처 알아차리지 못했던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치료자는 열린 마음으로 자문팀의 피드백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치료자는 스스로 자주 자기 탐구(self-enquiry)를 연습하고 실천함으로써 자기 안에 있는 미지의 영역(personal unknown)을 밝혀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개방성과 호기심이야말로 RO-DBT에서 치료자에게 요구하는 핵심 자세입니다.

우리나라에도 RO-DBT의 이론과 실제가 본격적으로 소개된다면, 지금까지 널리 알려져 활용되고 있는 DBT와 수용 전념 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같은 유용한 치료 기법들과 더불어 임상가가 활용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좋은 치료 도구가 늘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표 1. DBT와 RO-DBT의 비교3,9

기법

DBT

RO-DBT

공통점

행동 원리를 활용함

변증법에 기반함

대상 질환

과소 통제(undercontrolled) 내담자

  • ‘극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B군 성격 유형 (주로 경계성 및 반사회적 성격장애)

과잉 통제(overcontrolled) 내담자

  • ‘과잉 통제적인’ A군 및 C군 성격 유형(회피성ᆞ강박성ᆞ편집성ᆞ분열성 성격장애, 만성 우울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등)

대상

애착 유형

불안 애착 유형

  • 치료자와의 애착을 추구하며 버림받는 것을 두려워함

회피 애착 유형

  • 치료자와의 애착을 추구하지 않으며, 갈등이 발생할 때 쉽게 관계를 끊음

핵심 문제

감정 및 충동 조절 장애

사회적 신호 결핍, 낮은 개방성, 냉담함

자살시도 및 자해

  • 높은 빈도
  • 대개 기분에 따라 시도하고 즉흥적임
  • 자해 및 자살시도를 굳이 숨기지 않음
  • 높은 빈도
  • 대개 사전에 계획함
  • 자해 및 자살시도를 잘 숨김
  • 기분보다는 규칙 지배적임(예: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벌함으로써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을 회복함)

치료 방향

과소 통제 내담자가 더 잘하고, 더 많이 노력하고, 더 변화 지향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함

과잉 통제 내담자가 더 잘하거나 더 많이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을 놓아 버릴 수 있도록 함

치료적 입장

  • 가벼운 혐오 자극 같은 외적 수반성(external contingency)을 활용함
  • 위험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중단하기 위해 치료자가 직접 개입함

덜 지시적이고, 내담자가 독립적 행동과 의견을 지니도록 독려하고, 자기 탐구와 자기발견을 강조함

치료자 교육

내담자가 충동을 조절하고 그 강화된 결과를 발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외적 수반성을 활용하는 법

내담자의 참여를 증진하고 취약성과 유대감을 모델링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신호 전달을 활용하는 법

치료 초점

내면

  • 감정 조절 기술, 행동에 대한 통제력 확보, 고통 감내

외면

  • 사회적 신호, 개방성, 사회적 유대감 기술

교육 내용

  • 갈등을 회피하는 법, 더 체계성을 갖추기, 충동을 억제하기, 만족을 지연하고 고통을 감내하기(대부분의 과잉통제 내담자들이 이미 과잉학습한 기술들)
  • 가벼운 혐오자극 등의 외적 수반성을 통해 내담자가 통제력 획득 및 충동 조절이 어떤 결과를 불러오는지 발견하게 도와줌
  • 개방성, 유연한 대처, 사회적 유대감 증진, 감정적 취약성을 표현하는 방법
  • 충동 조절보다는 자기 탐구와 자기발견을 중시함

내담자와의 거리

치료자는 고조되는 것을 완화하고 피하기 위해 잠시 내담자와 거리를 둬야 할 때도 있음

치료자는 갈등이 존재할 때 내담자가 자동적으로 관계를 떠나거나 피하지 않고 참여하도록 독려함

강화하는 부분

내담자가 감정 및 생각을 조절하고 측정하는 것

내담자가 감정을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

치료 대상의 위계

  1. 생명을 위협하는 행동(예: 자살시도 및 자해)
  2. 치료를 방해하는 행동
  3. 삶의 질을 저해하는 행동
  • 정신질환으로 인한 역기능적 대처 패턴(동반 이환된 정신질환이나 정신사회적 문제)
  • 고위험 혹은 피임하지 않은 성관계
  • 극도의 경제적 궁핍
  • 교도소에 갈 수도 있는 범죄
  • 대인관계, 직장이나 학교, 신체 건강, 거주에 지장을 주는 역기능적 행동들
  1. 생명을 위협하는 행동(예: 자살시도 및 자해)
  2. 치료 동맹 파열
  3. 부적응적 과잉통제 사회적 신호
  • 억제되고 가식적인 감정 표현
  • 디테일을 매우 중시하고 지나치게 조심스럽게 행동함
  • 경직되고 규칙 지배적 행동
  • 냉담하고 소원한 관계 스타일
  • 높은 사회적 비교, 시기, 원망

개입의 우선 순위

치료를 방해하는 행동

  • 치료 위계에서 두 번째 우선순위
  • 치료를 방해하는 행동을 변화의 걸림돌로 여김

치료 동맹 파열

  • 치료 위계에서 두 번째 우선순위
  • 동맹 파열은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기에 환영함

마음챙김

선불교에 기반

말라마티 수피즘에 기반

  • ‘존재하는 것’에 대한 비판단적 알아차림과 직관적 앎을 강조함
  • 기분에 따른 충동적 대처를 감소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장기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당장의 만족을 지연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하는 데 초점을 맞춘 현명한 마음(Wise Mind)을 함양할 것을 독려함
  • 자기 탐구, ‘자신을 드러내기’, 계획 없이 참여하기, 건강한 자기의식 함양을 강조함
  • 경직된 규칙 지배적 통제 노력을 느슨히 하고 맥락에 적합한 탈억제와 감정 표현을 증진하는 유연한 마음(Flexible Mind)을 함양할 것을 독려함

수용과 개방성

온전한 수용(Radical Acceptance)을 강조하고 우선시함

  • 온전한 수용은 ‘현실과 싸우기를 그만두는 것’임
  • “(온전한 수용은) 참을 수 없는 괴로움(suffering)을 참을 수 있는 고통(pain)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이다.”(Linehan 1993)

온전한 개방성(radical openness)을 강조하고 우선시함

  • 온전한 개방성은 배우기 위해 자신이 피하고 싶은 것을 오히려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현실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겸손함을 모델링하고,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냄
  • “우리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가 아닌 우리가 보는 대로 본다.”(Lynch 2017)

강조점

내적 감정을 조절하고 기분에 좌우되지 않는 행동을 강조함

우리의 부족적 본성과 사회적 유대감을 강조함

기질

기질을 고려하지 않음

기질을 고려한 개입을 우선시함

  • 기질(감정의 유전학)은 내담자가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내는 지각 및 조절 편향에 영향을 끼치므로, 내담자의 치료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임

생기질을 다루지 않음

특정한 신경 기질을 활성화하는 구체적 기술을 통해 생기질을 치료 대상으로 삼음

 


a RO-DBT 문헌에서는 DBT를-RO DBT와 구분하기 위해 ‘표준(standard) DBT’라고 지칭하기도 함

본 자료는 가천대학교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나경세 교수가 직접 작성한 기고문으로, 한국룬드벡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DeCou CR, Comtois KA, Landes SJ.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Suicidal Behavior: A Meta-Analysis. Behav Ther. 2019;50(1):60-72.
  2. Chapman AL.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current indications and unique elements. Psychiatry (Edgmont). 2006;3(9):62-68.
  3. Lynch TR, Hempel RJ, Dunkley C. Radically Open-Dialectical Behavior Therapy for Disorders of Over-Control: Signaling Matters. Am J Psychother. 2015;69(2):141-162.
  4. Lynch TR, Gray KL, Hempel RJ, Titley M, Chen EY, O'Mahen HA. Radically open-dialectical behavior therapy for adult anorexia nervosa: feasibility and outcomes from an inpatient program. BMC Psychiatry. 2013;13:293.
  5. Porges SW. Orienting in a defensive world: mammalian modifications of our evolutionary heritage. A Polyvagal Theory. Psychophysiology. 1995;32(4):301-318.
  6. Porges SW. The polyvagal theory: phylogenetic substrates of a social nervous system. Int J Psychophysiol. 2001;42(2):123-146.
  7. Likowski KU, Mühlberger A, Gerdes AB, Wieser MJ, Pauli P, Weyers P. Facial mimicry and the mirror neuron system: simultaneous acquisition of facial electromyography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ront Hum Neurosci. 2012;6:214.
  8. Brus, M. Book forum.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2019), Vol.58(5), 547–549.
  9. New Harbinger Publications, Inc.. Home> Blog> Clinician corner> How is RO-DBT different from DBT?(14Feb2017). Accessed on 13Sep2023. Available at: https://www.newharbinger.com/blog/professional/how-is-ro-dbt-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