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n day 4 of the 35th Congress of the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enhancing cogni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and managing sleep disorders in anxious and depressed patient were discussed. Top papers in psychiatric genetics were presented and the use of digital therapeutics for brain disorders was explored. Professor Ole Kiehn, University of Copenhagen, Denmark, delivered his keynote lecture on elucidating circuits for locomotor movement in health and disease.
제35 차 유럽 신경정신 약리학회 (Congress of the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4일차(10월 18일)에는, 정신분열증과 양극성 장애의 인지 기능 향상을 비롯해 불안하고 우울한 환자의 수면 장애 관리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습니다. 정신의학에서의 유전학 관련 주요 논문이 발표되었고, 뉴 프런티어에서는 뇌 장애에 대한 디지털 치료법의 사용을 알아봤습니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의 올레 킨(Ole Kiehn) 교수가 건강과 질병의 운동 회로를 설명하는 기조 강연을 했습니다.
Boosting cognition i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정신분열증 및 양극성 장애에서 인지 능력의 향상
“Why intervene on cognition? Cognitive impairment is prevalent with psychoses and negatively impacts on illness severity,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 Dr Rebecca Strawbridge, London, UK
“왜 인지기능 치료에 중재법을 사용할까요? 인지 장애는 정신 질환에 동반되며 질병의 중증도, 심리사회적 기능,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영국 런던 레베카 스트로브리지(Rebecca Strawbridge) 박사
Restoring sleep patterns in anxiety and depression
불안과 우울증의 수면 패턴 회복
“A good night’s sleep is a therapy for our emotions. When sleep is disturbed, insomnia increases cognitive vulnerability to anxiety and may fuel the cycle of worry.” – Dr Laura Palagini, Ferrara, Italy
“숙면은 감정의 치료법입니다. 수면이 방해를 받으면 불면증으로 인해 불안에 대한 인지적 취약성이 커지고 걱정하는 주기에도 더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 이탈리아 페라라 로라 팔라기니(Laura Palagini) 박사
The bipolar brain drives creativity
양극성 뇌가 창의성을 주도한다
Bipolar disorder i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lifetime creative achievements, including entrepreneurial, artistic and scientific activities
양극성 장애가 있으면 사업, 예술, 과학 분야에서 평생 동안 높은 수준의 창의적 성취를 이루기도 합니다.
2022 Brain Prize Lecture
2022 두뇌상 강연
Advanced understanding of neuronal circuit organization has potential for therapeutic developments in Parkinson’s disease
신경 회로를 보다 잘 이해하면 파킨슨병 치료제의 개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This year’s ‘The Brain Prize’ was awarded to Professor Ole Kiehn, University of Copenhagen, Denmark, who delivered his keynote lecture on elucidating circuits for locomotor movement in health and disease. His research work links neuronal circuit organization to behavior, and demonstrates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therapeutics for movement disorders caused by spinal cord injury or motor disease like Parkinson’s.
올해의 ‘두뇌상’은 건강과 질병의 운동성 회로를 규명하는 기조 강연을 한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의 올레 킨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 킨 교수의 연구 작업은 신경 회로를 행동과 연결하여 척수 손상이나 파킨슨병 같은 운동 질환에 의한 운동 장애 치료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Our correspondent’s highlights from the symposium are meant as a fair representation of the scientific content presented.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on this p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Lundb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