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NP 2022] MDD에서 나타나는 불충분한 반응의 조기 인식

On day 3 of the 35th Congress of the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sessions covered schizophrenia and major depression, overcoming barriers to care and managing treatment resistance. Top papers in brain imaging and anxiety disorders were presented and a ‘Love Your Brain’ session set out strategies to overcome brain fog. The plenary lectures explored the psychobiology of exhaustion and gave novel insights into immune-brain interactions.

제35차 유럽 신경정신 약리학회 (Congress of the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3일차(10월 17일)에는 정신분열증, 주요 우울증, 치료 시 장애요인을 극복하는 것과 치료 저항성 관리 등의 주제가 다뤄졌습니다. 뇌 영상과 불안 장애에 대한 주요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한 세션에서는 브레인 포그 극복 전략이 제시되었습니다. 기조 강연에서는 피로의 심리생물학적 측면을 알아보고, 면역-뇌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Overcoming barriers to improve patient care

환자 돌봄 개선을 위한 장애요인 극복

  • Both schizophrenia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when inadequately managed,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daily lives and aspirations of patients.
  • The importance of timely diagnosis and early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strategies were identified,1,2 along with patient- and clinician-related reasons for therapeutic inertia.
  • Strategies to overcome barriers to early recognition and promote optimal care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lives of patients with MDD and schizophrenia.
  • 정신분열증과 주요 우울 장애(MDD)는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환자의 일상과 동기부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환자 및 임상의와 관련된 치료 관성의 원인과 더불어, 적절한 시기의 진단 및 관리 전략의 조기 실행이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1,2
  • MDD 및 정신분열증 환자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조기 인식을 저해하는 장애물을 극복하고 최적의 치료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이 제안되었습니다.

“Stopping antipsychotic treatment is by far the strongest predictor of relapse in schizophrenia and the psychosocial consequences can be very, very serious.” – Professor Robin Emsley, Cape Town, South Africa

항정신병약물 치료 중단은 정신분열증 재발의 가장 강력한 예측 요인이며 그 심리사회적 결과는 매우 심각할 수 있습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 타운 로빈 엠슬리(Robin Emsley) 교수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at the forefront

최전선에 있는 정신분열증과 우울증

  • a review of neural circuit biology and neuropharmacology related to unmet needs in schizophrenia
  • cognitive deficits in MDD associated with alterations in the structural network of the brain
  • effects of immune and metabolic dysfunction on brain circuits in depression
  • closing the translational gap between preclinical and clinical research to furnish novel treatments in psychosis
  • disentangling the complexity of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providing practical guidance on how to assess patients and select the most appropriate treatment
  • 정신분열증의 미충족 수요와 관련된 신경 회로 생물학 및 신경 약리학적 검토
  • 뇌의 구조적 네트워크의 변화와 관련된 MDD에서의 인지 결손
  • 면역 및 대사 장애가 우울증 환자의 뇌 회로에 미치는 영향
  • 정신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제공을 위한 전임상 및 임상 연구 사이의 격차 감소
  • 치료 저항성 우울증의 복잡성을 풀고, 환자 평가 방법 및 가장 적절한 치료법 선택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 제공하기

“People with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who show an early response, within the first 2 weeks, to augmentation treatment go on to have a good subsequent treatment outcome.” – Professor Anthony Cleare, London, UK

“증강 요법 초기 2주 내 빠른 반응을 보이는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는 계속해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습니다.” – 영국 런던 앤서니 클리어(Anthony Cleare) 교수

 

A diverse array of research highlights

다양한 연구의 핵심 사항

  • Exploration of the economic burden of mental health disorders and costs associated with physical comorbidities of mental illnesses.
  •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social isolation and mental health outcomes.
  • The cognitive sequelae of recreational drug use and risk for psychosis,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 in young people.
  • Genomic studies on psychotropic medications that provide insights into the molecular components of clinical outcomes in psychiatric disorders.
  • 정신 건강 장애의 경제적 부담 및 정신 질환의 신체적 동반 질환과 관련된 비용 고찰
  • 코로나19가 사회적 고립과 정신 건강에 미친 영향
  • 젊은 층에서 나타나는 마약류 사용의 인지적 후유증과 정신병, 우울증 및 자살 행동 위험
  • 향정신성 약물에 대한 유전자 수준 연구를 통해 정신 장애의 임상 결과에 대해 분자 수준에서의 인사이트 제공

People with mental health disorders have worse physical health than the general population and risk exclusion from work and poor work performance, with significant economic impact.

정신 건강 장애가 있는 사람은 일반인보다 신체 건강이 좋지 않으며, 직장에서 배제될 위험이 있고 업무 성과가 좋지 않아 경제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받습니다.

 

A star rises from the flames

불꽃에서 떠오르는 별

Among the many though-provoking campfire sessions held today, a highlight was the discussion of comorbidities of major depression led by Dr Liubov Kalinichenko, recipient of a Rising Star award. The strong interconnection of major depression with other psychiatric and peripheral disease symptoms occurs as a consequence of multiple bidirectional pathways with a shared molecular base.

많은 세션들 중 하이라이트는 리우보프 칼리니첸코(Liubov Kalinichenko) 박사가 이끈 주요 우울증의 동반 질환에 대한 토론이었습니다. 분자 공유를 기반으로 한 여러 양방향 경로의 결과가 주요 우울증과 다른 정신 질환 및 말초 질환 증상 간의 깊은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Major depression comorbid with other diseases, including anxiety, substance use disorder,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orders, results in poore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mortality

주요 우울증은 불안, 물질 사용 장애, 심혈관 및 대사 장애를 포함한 다른 질환을 동반하여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망률을 높입니다.

 

Plenary lectures – burnout and immune-brain interactions

기조 강연 – 번아웃과 면역 - 뇌의 상호작용

Professor Marie Asberg, winner of the 2022 ECNP Neuropsychopharmacology Award, gave a lecture revealing novel insights into the psychobiology of exhaustion. An expert on burnout, Professor Asberg described how prolonged stress leads to exhaustion disorder that often coexis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3

2022년 ECNP 신경정신약리학상을 수상한 마리 아스베르그(Marie Asberg) 교수는 피로의 정신생물학에 대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강연을 했습니다. 번아웃 전문가인 아스베르그 교수는 장기간의 스트레스가 어떻게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동반하는 탈진장애(exhaustion disorder)로 이어지는지 설명했습니다.3

Dr Jonathan Kipnis’ plenary lecture focused on elucidating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 immune and central nervous systems. Mechanistic study of the nature of neuroimmune interactions has broad implications ranging from autism to Alzheimer’s disease.

조나단 키프니스(Jonathan Kipnis) 박사의 기조 강연에서는 면역계와 중추신경계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중점적으로 다뤄졌습니다. 신경 면역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자폐증에서 알츠하이머 병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Our correspondent’s highlights from the symposium are meant as a fair representation of the scientific content presented.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on this p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Lundbeck.

참고문헌

  1. Emsley R et al. Symptom recurrence following intermittent treatment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successfully treated for 2 years: a 3-year open-label clinical study. J Clin Psychiatry 2012;73:e541–e547.
  2. Taylor RW, et al. Predictors of response to augmentation treatment in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J Psychopharmacol 2019;33:1323–39.
  3. Besèr A, et al.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a self-rating scale for stress-induced Exhaustion Disorder, the Karolinska Exhaustion Disorder Scale. Scand J Psychol. 2013;55(1):7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