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NP 2023] 제36차 유럽 신경정신 약리학회(ECNP) 학술대회 주요 내용

The annual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ECNP) Congress is Europe’s largest meeting in applied and translational neuroscience.1 Nearly 6,400 psychiatrists, neuroscientists, neurologists and psychologist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around the world registered for the latest gathering in Barcelona, Spain, to share and discuss research results and ideas in the field of neuroscience. There was one underlying goal for all attendees that was summarized in the mission statement by ECNP President Martien Kas: “To advance the science of the brain, promote better treatment and enhance brain health.”2

유럽 신경정신 약리학회(ECNP) 연례 학술대회는 응용 및 중개 신경과학 분야의 유럽 최대 규모 회의입니다.1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최대 규모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는 전 세계 약 6,400명의 정신과 의사, 신경과학자, 신경과 전문의, 심리학자, 기타 의료 전문가가 참석하여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 결과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논의하였습니다. 마르티엔 카스(Martien Kas) ECNP 학회장은 모든 참석자의 공동 목표를 “뇌 과학 발전, 치료법 개선, 뇌 건강 향상”2이라는 미션으로 요약했습니다.2

 

Enhancing brain health

뇌 건강 향상

A variety of brain disorders were discussed at the 36th ECNP Congress, ranging from bipolar disorder to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o schizophrenia. The burden presented by the unmet needs of these disorders on both the patient and the healthcare system were showcased at multiple sessions. One such session highlighted that many patients with MDD still report sub-optimal health outcomes, including po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overall functioning, despite antidepressant treatment.3-5 The impact depressive disorders have on brain health can lead to physical comorbidities as well, with a 64% higher risk of developing coronary artery disease than people without depression.6

제36차 ECNP 회의에서는 양극성 장애, 주요우울장애(MDD), 조현병 등 다양한 뇌 질환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여러 세션에서 이러한 질환의 의학적 미충족 요구가 환자와 의료 체계 모두에 부담이 됨을 제시했습니다. 그 중 한 세션에서는 다수의 MDD 환자가 항우울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전반적 기능에 있어 여전히 미진한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3-5 우울 장애는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우울증이 없는 사람보다 관상동맥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64% 높은 것과 같이 신체적 동반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6

Adults with a depressive disorder have a 64% higher risk of developing coronary artery disease6

우울 장애가 있는 성인의 경우 관상동맥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64% 높습니다.6

In response, there seems to be an ongoing effort in recent years to build a more complex picture of MDD, as a collection of afflictions rather than a singular condition. By identifying and targeting specific dimensions in MDD, such as cognition, emotional blunting and anhedonia, it may lead to improved patient-reported outcomes that could result in a full functional recovery.7-10

이에 대한 대응으로 최근에는 MDD를 하나의 질환이 아닌 여러 질환이 모인 것으로서 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지, 감정 둔화, 무쾌감증과 같은 MDD의 특징을 인식하고 표적하면, 환자가 보고하는 치료 결과가 향상될 수 있고 완전한 기능 회복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7-10

 

Promoting better treatment

치료법 개선

Treatment of other brain disorders, such as schizophrenia, are already well established. However, despite the number of antipsychotic medication options available, management of cognitive and negative symptoms is a largely unmet clinical need in schizophrenia. Currently available antipsychotics provide only modest benefit in managing these symptoms, even though they often have the most impact on patients’ daily lives.11 Despite this, antipsychotics have still been shown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prevention of relapse through maintenance treatment, but with more than 50% of patients not adhering to their initial prescription after hospitalization, the approach to schizophrenia management may need to be reevaluated.12

조현병 등 기타 뇌 질환의 치료제는 이미 잘 확립되어 있습니다. 항정신병 약물이 많긴 하지만, 조현병의 인지 증상과 음성 증상을 임상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대체로 어렵습니다.이러한 증상이 주로 환자의 일상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지만, 현재 이러한 항정신병 약물은 증상을 관리하는 데는 보통 정도의 효과를 보입니다.11 항정신병 약물은 유지 치료를 통한 재발 예방에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자의 50% 이상이 입원 후 최초 처방 시 낮은 복약 순응도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조현병 관리에 대한 접근법을 재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12

More than 50%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do not adhere to their initial antipsychotic prescription after hospitalization12

조현병 환자의 50% 이상이 입원 후 항정신병제 약물 최초 처방 시 복약 순응도가 낮습니다.12

Various sessions at the 36th ECNP congress looked at the potential for improving schizophrenia treatment. The principles of shared decision-making and motivational interviewing were highlighted as powerful tools in engaging patients and improving adherence.13 B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patient preferences and incorporating them into treatment plans, psychiatrists may be able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care for individuals living with schizophrenia and reduce the devastating impact of relapse on their lives.13,14

With patient preference in mind, the benefits of certain antipsychotic agents were evaluated, and it was shown that in one study, long-acting injectable antipsychotics (LAIs) were found to be preferred by 77% of patients when compared to oral agents.14 This could be why LAIs offer the chance for better adherence and lower relapse, rehospitalization and mortality.15,16

제36차 ECNP 학술대회의 여러 세션에서는 조현병 치료법의 개선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환자를 참여시키고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강력한 도구로서 공동 의사결정과 동기부여를 위한 면담의 원칙을 강조하였습니다.13 정신과 의사는 환자의 선호도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치료 계획에 반영하면, 조현병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진료의 질을 높일 수 있고 재발로 인해 환자의 삶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13,14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특정 항정신병 약물들의 유익성이 평가되었으며, 한 연구에서는 환자 중 77%가 경구제보다 장기지속형 주사제(LAI)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4 따라서 LAI는 복약 순응도를 높이고 재발, 재입원, 사망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15,16

In a study, long-acting injectable antipsychotics were preferred by 77% of patients when compared to or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14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자 중 77%가 조현병 치료에 경구제보다 장기지속형 주사제(LAI)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4

 

Advancing the science of the brain

뇌 과학 발전

It was not only current treatment options that were debated at this annual congress, but also the future of treatment in the form of potential new agents. Though our understanding of schizophrenia has evolved, current pharmacological treatments all operate using the same mechanism – blockade of the dopamine D2 receptor – and have done for over 70 years. Novel treatment targets may be of particular benefit in symptom domains which were not well served by existing medications.17

이번 연례 학술대회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치료제뿐 아니라 잠재적 신약 형태의 미래의 치료제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조현병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지만, 현재 약리학적 치료제는 모두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이라는 동일한 기전으로 작용하는 방식이었고 이 방식이 70년 이상 사용되었습니다. 새로운 치료 표적 약물은 기존 약물에 효과가 미미했던 증상에 특히 유익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17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s (mAChR) are promising targets for drug intervention in various brain disorders due to their involvement in the regulation of complex behaviours, such as cognition, movement, and reward.18 In particular, targeting the M1 receptor may enhance cognition and reverse memory deficits in schizophrenia, and as a result, several modulators for M1 have entered clinical trials.18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AChR)는 인지, 운동, 보상 등 복잡한 행동 조절에 관여하여 여러 뇌 질환의 약물 중재에 효과가 기대되는 표적 약물입니다.18 특히 M1 수용체를 표적할 경우 조현병 환자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고 기억력 감퇴를 역전시킬 수 있어, M1 수용체 조절제에 대한 임상시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18

Targeting the M1 receptor may enhance cognition and reverse memory deficits in schizophrenia18

M1수용체를 표적할 경우 조현병 환자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고 기억력 감퇴를 역전시킬 수 있습니다.18

TAAR1 is another receptor target with therapeutic potential, with agonists currently in clinical development. In preclinical models, it has been shown to modulate neurotransmitters important to schizophrenia, including dopamine, serotonin and glutamate, and may provide a unique way to modulate hyperdopaminergic states without receptor blockers.19

The congress ended on October 10 with the last of its 80 unique sessions, after having successfully facilitated the communication of ideas, discoveries and best practices to all participants. In light of the prospective emergence of novel treatment targets, anticipation for the next ECNP congress in Milan is bound to be high.

TAAR1은 치료 가능성이 있는 또 다른 수용체 표적 약물이며, 현재 여러 작용제가 임상 개발 중입니다. TAAR1은 전임상 모델에서 도파민, 세로토닌, 글루탐산염을 비롯해 조현병에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용체 차단제 없이도 고유한 방법으로 도파민 과활성화 상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19

이번 학술대회는 모든 참석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와 새로운 발견사례 및 모범사례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고 10월 10일 80개의 세션 중 마지막 세션을 끝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새로운 치료 표적 약물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밀라노에서 열리는 차기 ECNP 학술대회에 많은 기대가 쏠리고 있습니다.

Our correspondent’s highlights from the symposium are meant as a fair representation of the scientific content presented.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on this p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Lundbeck.

참고문헌

  1. ECNP Congresses. Available at: https://www.ecnp.eu/ecnpcongress/congresses. Accessed October 2023.
  2. Welcome and Keynote session – Making and breaking memories. Online session at: 36th ECNP congress; 2023 October 7; Barcelona and virtual.
  3. Ishak WW, et al. Qual Life Res 2013;22:585-96.
  4. Dionisie V, et al. J Clin Med 2023;12:4628.
  5. Daly EJ, et al. Ann Clin Psychiatry 2010;22:43-55.
  6. Heart disease and depression: A two-way relationship. Available at: https://www.nhlbi.nih.gov/news/2017/heart-disease-and-depression-two-wa…. Accessed October 2023.
  7. McIntyre RS, et al. CNS Spectr 2015;20(Suppl 1):20-30.
  8. Cao B, et al. Front Psychiatry 2019;10:17.
  9. McIntyre RS, et al. Neuropsychiatr Dis Treat 2021;17:575-85.
  10. Fagiolini A, et al. J Affect Disord 2021;283:472.
  11. Maroney M. Ment Health Clin 2022;12(5):282-99.
  12. Tiihonen J, et al. Am J Psychiatry 2011;168(6):603-9.
  13. Elwyn G, et al. Ann Fam Med 2014;12(3):270-5.
  14. Blackwood C, et al. Patient Prefer Adherence 2020;14:1093-1102.
  15. Kishimoto T, et al. Lancet Psychiatry 2021;8(5):387-404.
  16. Taipale H, et al. Schizophrenia Research 2018;197:274-80.
  17. McCutcheon RA, et al. JAMA Psychiatry 2020;77(2):201-10.
  18. Moran SP, et al. Trends Pharmacol Sci. 2019;40(12):1006-20.
  19. Dedic N, et al. Int J Mol Sci 2021;22(24):1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