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력 및 복지 향상 전략

A meaningful and enjoyable life and self-satisfaction—that is, restoration of positive affect and improved well-being—are the most important outcomes of treatment for people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1

의미있고 즐거운 삶과 자기 만족, 즉 긍정적 영향의 회복과 복지 향상은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환자들의 치료 결과로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1

Resilience,2 the successful adaptation and swift recovery from life adversiti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improved well-being.3,4

회복력,2성공적인 적응과 삶의 역경으로부터의 신속한 회복은 복지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3,4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are common and linked to the adult onset of a variety of diseases and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including MDD.5 In the context of MDD, resilience refers to the net effects of psychosocial and biological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that:

부정적인 아동기 경험(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CE)은 흔하게 발생하며 MDD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 및 사회적, 정서적 문제의 성인기 발현과 관련이 있습니다.5 MDD의 맥락에서 회복력은 다음과 같은 심리사회적 및 생물학적 내인성 요인과 외인적 요인의 순효과(net effect)를 의미합니다:

Improved well-being is the top priority for patients with MDD

MDD 환자를 위한 최우선 순위는 복지 향상입니다

  • decrease risk of onset or relapse
  • decrease illness severity
  • increase probability or speed of recovery6
  • 발현 또는 재발 위험 감소
  • 질병 중증도 감소
  • 회복 확률 또는 속도 증가6

 

Social, bi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promote resilience

사회적, 생물학적, 인지적 요인은 회복력을 증진시킵니다

Resilience improves well-being and outcomes for people with MDD5,7

회복력은 MDD 환자의 복지 및 결과를 향상시킵니다5,7

Asking for help, developing trusting relationships, forming a positive attitude, and listening to feelings are factors that promote resilience. They not only help people improve their lives,5 social influences, biological systems and cognitive processes link the neurobiological and psychosocial factors implicated in resilience.7

도움을 요청하고, 신뢰 관계를 발전시키고,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감정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회복력을 증진시키는 요인들입니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은 자신의 삶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5 사회적 영향, 생물학적 시스템 및 인지 과정은 회복력과 관련된 신경생물학적 및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연결 짓습니다.7

Social influence is the giving and receiving of social support:

  • giving support reduces physiological responses to stress and increases activity in reward processing regions of the brain
  • receiving support provides security and safety through the activation of cortical regions that potentially inhibit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nd inflammatory processes7

사회적 영향은 사회적 지원을 주고 받는 것입니다.

  • 지원 제공은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줄이고 뇌의 보상 처리 영역에서 활성을 증가시킵니다.
  • 지원을 받는 것은 잠재적으로 교감 신경계와 염증 과정을 억제하는 피질 영역의 활성화를 통해 안도감과 안전을 제공합니다7

Biological systems influencing resilience include the HPA axis, neuropeptides, and neurotrophic factors in response to stress.7 Resilience-enhanc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can protect against dysregulation of these systems.7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시스템에는 HPA 축, 신경펩티드 및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영양 요인이 포함됩니다.7회복력 강화 활동 및 전략은 이러한 시스템의 조절장애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7

Enhanced cognitive abilities are the most efficient means of overcoming adversity7

인지 능력 향상은 역경을 극복하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입니다7

Cognitive reappraisal is the ability to monitor and assess thoughts and replace negative thoughts with positive thoughts and so regulate one’s emotions:7

  • positive reappraisal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adolescent-perceived resilience7
  • children who are better able to regulate emotion through cognitive reappraisal exhibit greater resilience to MDD following childhood trauma8

인지적 재해석은 생각을 모니터링 및 평가하고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대체하여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입니다:7

  • 긍정적 재해석은 청소년이 인지하는 회복력의 유의한 예측인자입니다7
  • 인지적 재해석을 통해 감정을 더 잘 조절할 수 있는 아동은 아동기 외상 후 MDD에 대해 더 큰 회복력을 보입니다8

Executive functions such as attentio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as well as learning and memory are enhanced by some types of adversity and contribute to greater resilience.7

학습 및 기억뿐만 아니라 주의력, 문제 해결, 의사 결정과 같은 실행 기능은 일부 유형의 역경에 의해 강화되며 더 큰 회복력에 기여합니다.7

A higher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 which is a broad intelligence scale that includes measures of cognitive efficiency,9 independently predicts resilience.10

인지 효율성 측정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능 척도9인 더 높은 수준의 지능 지수는 독립적으로 회복력을 예측합니다.10

 

Strategies to increase resilience

회복력 향상을 위한 전략

Intrinsic factors may not be sufficient to withstand severe adversity

내인적 요인은 심각한 역경을 견뎌내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ntrinsic genetic and personality factors are thought to be sufficient for individuals to respond effectively to low-intensity or short-duration adversity but may not be sufficient to withstand moderate to severe adversity.

내인적인 유전적 요인과 성격 요인은 개인이 낮은 강도 또는 단기간의 역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 충분하지만 중등도에서 심각한 정도의 역경을 견디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Strategies to increase resilience may be needed in these situations. Such strategies target the neural systems involved in emotion and stress regulation, cognitive processes and social behaviors and include:

  • social support
  • ensuring adequate sleep,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 cognitive training techniques
  • pharmacological therapy9

이러한 상황에서는 회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감정 및 스트레스 조절, 인지 과정 및 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신경계를 표적으로 하며, 다음을 포함합니다.

 

  • 사회적 지지
  • 적절한 수면, 영양 및 신체 활동 보장
  • 인지 훈련 기법
  • 약물요법9

Our correspondent’s highlights from the symposium are meant as a fair representation of the scientific content presented.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on this p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Lundbeck.

참고문헌

  1. Demyttenaere K, et al. J Affect Disord 2015;174:390–6.
  2. Gao T, et al. Int J Nurs Pract 2017;23:e12535.
  3. Rutten BPF, et al. Acta Psychiatr Scand 2013:128:3–20.
  4. Angeler DG, et al. Int J Bipolar Disord 2018;6:2.
  5. Got your ACE score? https://acestoohigh.com/got-your-ace-score/ Accessed 14 May 2020.
  6. Laird KT, et al. Transl Psychiatry 2019;9:88.
  7. Malhi GS, et al. Transl Psychiatry 2019;9(1):316.
  8. Rodman AM, et al. Biol Psychiatry 2019;86:464–73.
  9. Koriakin TA, et al. Dev Med Child Neurol 2013;55(9):840–5.
  10. Topiwala A, et al. PLoS One 2019;14(2):e0211273.